본문 바로가기
시사

2050년 AI시대: 인간이 4개의 계급으로 분류되는 미래 시나리오

by onmywaytoheaven 2024. 8. 29.
728x90
반응형

4개의 계급이란?

                                                               '서울대 공대 연구팀의 '미래 인구 보고서'

2090년 사회 계급도 전망
출처: 매경DB

 

2017년, 서울대 공대 연구팀은 '미래 사회에서 어떻게 시민들이 살아갈 것인가'의 주제로 1년여간 심층 연구한 끝에 이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연구진은 2090년께 빅데이터와 사물인터넷의 발달로 모든 것이 연결된 초연결사회에서는 현재의 facebook, google처럼 플랫폼을 소유한 극소수 IT기업이나 정치인, 인기 연예인들처럼 뛰어난 재능을 가진 이른바 '플랫폼 스타'들이 고급 일자리의 대부분을 차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하지만 전 세계 인구에서 이들이 차지하는 비중은 겨우 0.001%와 0.002%에 불과하다. 나머지 99.997%에 달하는 대다수 일반 시민들은 플랫폼에 종속돼 인공지능 로봇들과 힘겨운 일자리 경쟁을 벌이게 될 거라는 것이다.

 

  • 1계급: 플랫폼 등 기술을 소유한 기업인 0.001%
  • 2계급: 인기 정치인, 연예인 같은 스타 0.002%
  • 3계급: 사회 전반의 일자리를 대체할 AI
  • 4계급(프레카리아트 계급): 단순 노동자 99.997%

*[용어설명] 프레카리아트(Precariart): 이탈리아어 '불안정하다(Precario)'와 노동자를 뜻하는 영어 '프롤레타리아트(Proletariat)'의 합성어로 영국의 경제학자 가이 스탠딩이 처음으로 주장했다. 인간의 노동이 대부분 AI로 대체된 미래 사회에서 임시 계약직, 프리랜서 형태의 단순 노동에 종사하면서 저임금으로 근근이 살아가는 계층을 말한다.

 

 

 

 

 

 

7년이 지난 지금은?

2024년이 지난 현재, 유교수는 인터뷰에서 초양극화 사회로의 진입은 이미 예상대로 진행되고 있으며 산업이 중요시되었던 과거와 달리 이제는 플랫폼을 보유한 자가 기술, 인력, 자본을 통제하면서 지배적 권력을 행사할 것이라고 언급하였다.

 

또한 2090년이 되면 대부분의 일상이 가상현실에서 이루어질 것이고 그 결과 현실 세계는 활동하는 인구도 적고 관리도 부실해 준 방치 상태로 근근이 유지될 것이라고 언급하였다.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그럼, AI시대에서 우리는 어떤 자세로 이 상황을 바라보아야 할까. 마냥 AI에 종속될 수 있다는 불안에 휩싸여 있어야 하는가? 그렇지 않다. 위기를 기회로 바꾸면 된다. 마냥 바라보며 낙담하기보다 AI를 자유자재로 활용할 줄 아는 사람이 되어 더 나은 작업물을 만드는 데에 집중하며 더 발전된 나의 모습을 기대하면 된다. 즉 두려움의 존재보단 도구로서 인식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선 끊임없이 AI를 다각도로 활용하는 연습을 해야 할 것이다.

 

또한 퍼스널 브랜딩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제는 유망한 분야가 어디인지 이리저리 모색하기보다 자신의 분야에서 남들보다 월등한 두각을 나타내는 등 대체할 수 없는 자신만의 역량, 영감, 창조성을 키우는 데에 집중해야 할 것이다. 인공지능의 보조자로 전락하지 않기 위해선 말이다. 결국 '혁신'은 끊임없는 과제이다.

 

 

실생활 영어 숙어 20개 완벽 정리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영어 숙어들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 bite the bullet, throw the towel, hit the road 등등을 포함하여 총 20개의 숙어를 실생활 예시와 함께 알아보겠습

cybercity.tistory.com

 

실생활 영어 줄임말 10개 완벽 정리하기: NGL, SMH, FYI, TBD, TBH 등

안녕하세요. 오늘은 실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영어 줄임말에 대해 완벽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네이티브가 아닌 이상 영어 줄임말의 뜻을 정확히 알기 어려울 수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다양

cybercity.tistory.com

 

728x90
반응형